건강(43)
-
당뇨병에 보리밥?
당뇨병 환자는 보리밥을 먹어야 할까요? 이는 일반인들이 흔하게 잘못 할고 있는 건강 상식이다. 실제로 당뇨병 환자가 식사요법을 위해 어떤 종류의 밥(쌀밥, 현미밥, 보리밥, 잡곡밥 또는 오곡밥)을 먹어야 할 것인지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자기의 표준체중을 유지하는데 적절한 밥의 양을 제대로 지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 끼니에 밥 1공기씩만 먹도록 식사요법을 처방받았다면, 밥의 종류에 관계없이 반드시 이 양을 지켜서 먹어야 한다. 환자가 먹을 밥의 종류는 환자 본인의 형편과 기호에 따라 환자 스스로 결정하면 되는 것이다. 19세기말(1886년) 일본의 동경제대 의학부의 내과 과장으로 독일인 의사인 벨쯔박사가 부임해 왔다. 당시 일본의 사정은 일부 상류층을 제외하고는 쌀은 물론 육류 섭..
2020.11.05 -
허리의 증상과 원인
요통의 원인은 여러가지이다. 척추뼈의 이상, 척추뼈 사이 연골의 이상, 척추신경의 이상 등 척추 자체의 병변 외에 심인성 즉, 신경성 원인과 복강내 질환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요통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그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쉽지 않아 적절한 치료를 적당한 시기에 받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요통의 대부분은 골관절계 이상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많은 예에서 척추뼈와 뼈 사이의 추간판 즉, 디스크나 인대, 근육 등의 이상으로 인한 통증을 볼 수 있다. 신경성 원인으로는 과도한 스트레스나 정신적, 신체적 긴장이 요통을 일으키기도 하며, 신장결석이나 여성 골반내 장기 즉, 자궁이나 난소의 염증이나 이상으로 요통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를 연관 동통이라고 한다. 우리 주위에는 요통을 앓는 사람이 이..
2020.11.04 -
꿀벌이 준 선물 - 봉약침
관절염을 앓던 사람이 산에 갔다가 벌에 쏘인 뒤 이상하게도 통증이 사라졌다는 일화가 있다. 봉침은 양봉가들의 경험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기원전 2000년경의 이집트 파피루스에서 벌침을 아픈 곳에 직접 문지러 치료를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 외에도 황제내경 이전의 의서에 '봉독을 추출하여 질병 치료에 사용'한 기록도 있으며, '히포크라테스가 봉침을 치료에 응용'한 기록이 있다. 봉약침 요법이란 살아있는 꿀벌의 독낭에 들어 있는 독을 인위적으로 추출 가공하여 질병과 유관한 부위 및 경혈에 주입함으로써 침의 효과와 벌의 독이 지니고 있는 생화학적 약리효과를 질병의 치료에 이용하는 신침요법으로, 약침요법과 함께 인체의 경혈자극과 물리,화학적인 자극까지 가한 치료법이다. 더보기 봉약침의 효능◈ 면역증강 효과류..
2020.11.03 -
목주름 관리하는 방법
눈가처럼 피부가 얇고 건조해 주름이 생기기 쉬운 목피부 굵은 목주름이 생기게 되는 원인은 안면 주름과 마찬가지로 자연적인 세월의 흐름에 의한 자연 노화와 수십년의 자외선 노출로 인한 광노화의 합으로 점차 탄력을 잃으며 생기는 주름이다. 특히 목의 피부는 눈가와 같이 피부가 얇고 피지선이 상대적으로 적어 건조하며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수시로 고개를 돌리고 구부리는 등 운동량이 많아 노화가 빨리 진행된다. 목주름은 크게 수평 주름과 수직 주름으로 나눌 수 있다. 수평 주름은 20대 후반부터 안면 주름처럼 서서히 피부탄력이 소실되면서 생기기 시작하지만 눈에 잘 띄지 않다가 30대가 되면 부쩍 표가 나고, 40대가 되면서 더욱 늘어져 자세나 목의 움직임에 따른 굵은 수평 주름이 뚜렷해진다. 수직 주름은 ..
2020.11.01 -
중년의 어깨 고질병 오십견
오십견이란 말 그대로 50세가 되어 팔다리가 쑤시고 아파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어 붙여진 병명이다. 하지만 평균수명이 80대를 웃도는 요즘은 오십견을 단지 노화현상으로 넘겨버리고 체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오십견은 항상 같은 움직임을 반복하는 주부나 컴퓨터 작업이 많은 직장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요즘은 '삼십견' '사십견' 이라는 말도 있는 것처럼 30, 40대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한 오십견 환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오십견은 왜 발생할까? 오십견이란 어깨주위에 특별한 질환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어깨가 통증과 함께 굳엇 팔을 마음대로 들거나 움직일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어깨가 돌처럼 굳어 움직이기가 매우 불편하며 심한 통증이 특징이다. 심한경우 아픈 어깨쪽으로 누워 잠을 잘 수..
2020.10.31 -
이명 - 재활치료로 극복
이명 치료는 이명을 더 이상 의식할 수 없도록 피질하프로그램을 수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명을 제거하고자 하는 치료는 약을 사용하던지 그렇지 않던지 보통은 잘못된 개념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치료는 이명을 파괴하여야 할 적으로 간주한다. 피질하 중추신경계는 그런 방법으로는 재프로그래밍 할 수 없다. 이것이 약물 치료나 다른 많은 치료들이 효과가 없는 이유이다. 그러나, 뇌의 소프트웨어에 작용하는 인지치료는 쉬운 일이 아니다. 환자들이 능동적으로 사고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이명의 의식적인 인지에 대한 '스위치를 끄고', 피질하 중추신경의 소프트웨어를 재프로그래밍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에게서 제공받는 수동적인 도움 뿐 아니라, 능동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통합 치료'만이 이명환자의 무거운 짐을 가..
2020.10.29